-
Linux 관련 명령어 암기study 2020. 12. 2. 16:51반응형
sudo : superuser do을 줄인것으로, 슈퍼유저로서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게 해준다. ex) root가 아닌 사용자가 root에 준하는 능력으로 뒤의 명령어들을 실행
pwd :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 표시
cd path : change directory를 줄인것으로,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변경할 때 쓴다. cd 뒤에 주소를 입력하고, 상위 폴더로 가기 위해서는 cd .. 를 입력한다.
vi filename : unix 운영체제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편집기로 명령모드와 삽입모드가 있다.
관련 내용 : www.cs.colostate.edu/helpdocs/vi.html
Basic vi Commands
Nyy or yNy copy (yank, cut) the next N lines, including the current line, into the buffer
www.cs.colostate.edu
ls, ls -al : list segments의 약자이며 파일의 목록을 표시하는 명령어이다. ls -al로 조회시 더 자세한 정보로 볼 수 있다. (권한, 소유자, 날짜 등)
rm filename : rm은 remove의 약자이며 파일을 제거하는 명령어이다. rm -fr filename으로 입력할 시 강제로 삭제할 수 있다.
unzip filename : 압축해제를 하는 명령어이다.
mv filename path : mv는 move의 약자로 파일을 이동시키는 명령어이다. 같은 디렉토리로 이동할 시 (path 생략) 이름 변경을 할 수 있고 이때에는 뒤에 새로운 이름을 입력해주어야 한다.
touch : 파일을 생성하고 타임스탬프를 변경한다.
semanage : 보안정책을 추가,변경,삭제하는 명령어이다. policycoreutils-python를 설치해주어야 사용할 수 있다.
chown : change owner of file의 약자로 파일의 소유자를 바꿀 수 있다. 보통 슈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파일의 그룹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chgrp를 사용해야 한다. ex) chmod apache:apache filename
chmod : change mode of file, 파일의 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권한에는 666, 777, 755, 644 같은 것들이 있는데, 각각 세자리의 숫자들이 의미하는 것은
0 = --- = 액세스 없음
1 = --x = 실행
2 = -w- = 쓰기
3 = -wx = 쓰기 및 실행
4 = r-- = 읽기
5 = rx = 읽기 및 실행
6 = rw- = 읽기 그리고 쓰기
7 = rwx = 읽기, 쓰기 및 실행과 같다.
또한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자리에 오는 숫자마다 다른 사용자의 유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765라면, 소유자에게는 모든 권한, 그룹에게는 읽기와 쓰기, 그리고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읽기 및 실행만 가능한 권한을 각각 부여한다는 것이다.
-R : 명령어에 이 매개 변수를 입력하면 재귀, 즉 하위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도 적용되게 할 수 있다.
systemctl : 서버 관리시 입력하는 명령이이다. systemctl restart httpd.service 처럼 입력하여 아파치 서버를 리로드 할 수 있다.
반응형'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하게 React Hooks 사용해보기 (0) 2020.11.30 REST API에 대해서 (0) 2020.11.24 IT 신입 개발자 면접 대비 질문들(실무, 개념) (0) 2020.11.12 2020 리액트 개발자 로드맵(React Roadmap) (0) 2020.11.12 2020 프론트엔드 개발자 로드맵(Front-end Roadmap) (0) 2020.11.12